Space

작은 아이들의 큰 장난감 A BIG TOY FOR A LITTLE CHILD

동네 골목을 걷다 바닥을 유심히 보고 깊은 고민에 빠진 적이 있다. 우리는 골목길에 왜 하필 아스팔트를 까는 걸까. 아스팔트 이전의 골목은 어땠을까. 거칠고 단단해서 뛰어놀기엔 영 불안하고 거무튀튀한 것이 무언가 불쾌하다. 초겨울 끝까지 남아 물렁해진 감이라도 골목에 떨어지면 흐트러지지 않고 눅진하게 바닥에 붙었다 서서히 썩어간다.

7년 전, 사무실을 처음 개소하고 마음만 앞서 만든 부모님 댁의 방 천장고는 5m에 육박한다. 처음 어린 딸을 데리고 부모님 댁에 갔을 때 딸은 재우려 방에만 눕히면 영문 없이 울어댔다. 어느 날인가 자려고 누운 방에서 높은 천장을 바라보다 불현듯 작은 아이에게 이 방은 거대한 건물의 로비처럼 느껴지진 않았을까 싶었다. 누군가 나에게 시청 로비에 이부자리를 펴준다면 어땠을까. 과연 나는 울지 않았을까.

수락산 자락의 청원학원은 초등학교와 중학교, 남자고등학교와 여자고등학교(이하 여고)까지 네 개의 학교가 모여 있는 캠퍼스다. 100cm부터 180cm까지, 20kg에서 80kg까지 두 배에서 많게는 네 배 차이가 나는 사람들이 모인 공간. 이 공간에 대한 마스터플랜을 요청받았을 때 개별성에 대한 고려가 무엇보다 중요할 거라고 생각했다. 정적이거나 동적이거나 에너지가 넘치는 아이들은 다양하고 많은 활동 영역을 필요로 하지만 실제 캠퍼스의 외부 공간은 아스팔트로 뒤덮인 자동차들의 공간이었다. 결국 마스터플랜은 캠퍼스의 한쪽 경계에 모든 주차 수요를 담는 주차장을 만들어 외부 공간을 다시금 학생들에게, 다양한 방식으로 돌려주는 방향으로 계획됐다. 기본적으로는 아스팔트를 부드러운 포장과 흙, 잔디로 교체해 학교 전체가 공원, 마당과 같은 환경을 갖도록 하자는 제안이었다. 2019년 마스터플랜의 제안

You’re reading a preview, subscribe to read more.

More from Space

Space27 min read
THE ARCHITECT'S ATELIER Interview
건축가의 작업 공간이 일반적인 사무실과 다른 지점이 있다면, 대부분 설계업의 특성에서 기인하는 것이다. 아틀리에는 문서 작업과 회의만이 아닌, 설계와 제작을 위한 도구와 공간을 필요로 한다. 이러한 기능적 필요에 따라 각 사무소는 여러 작업 영역을 분리하거나 통합하고, 업무 효율을 높이기 위해 팀원들 간 소통과 협업을 유도하는 배치를 꾀한다. 주목할 점은 설계업이라는 공통분모를 두고 저마다의 방식으로 차별화한 작업 공간을 구성한다는 점이다. 앞
Space3 min read
스머프 마을학교 Smurf Village School
우리나라 학생들은 불쌍하다. 거의 모든 시간을 실내 공간에 갇혀서 지낸다. 아이들은 마당 대신 아파트 거실에서 놀고, 학교에 가면 교실에 갇혀 있고, 방과 후에는 상가에 있는 학원 교실에서 지내고, 이동할 때에도 봉고차에 실려 다닌다. 우리나라 학생들은 자연을 만날 기회가 없다. 자연을 못 만나고 좁은 공간에 머물다 보니 자연스레 스마트폰을 더 많이 보고 컴퓨터 게임도 더 오래 한다. 미디어 속에서만 큰 공간을 만날 수 있기 때문이다. 아이들을
Space19 min read
News
김지아 기자 서울시립 미술아카이브에서 열린 <서울: 서울, 어디에나 있고 아무데도 없는 강홍구의 서울>은 오랜 시간 서울이라는 도시 공간의 변화를 탐구해온 작가 강홍구의 작업을 아카이브의 관점에서 재해석하고자 시도한다. 이번 전시에서는 2018년 그가 서울시립 미술아카이브에 기증한 불광동 작업 컬렉션 5,000여 점과 2023년 추가 기증한 은평뉴타운 작업 컬렉션 1만 5,600여 점을 토대로 단순히 작가의 개인전 형식이 아닌, ‘강홍구의 서울

Related Books & Audioboo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