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pace

최양업 신부 탄생기념경당 Thomas Choi Birth Memorial Chapel

Woo-projects Architects

우연히 프로젝트 건축사사무소

낮고 소박한 성소

충청남도 청양의 다락골, 최양업 토마스 신부(崔良業, 1821~1861)의 탄생지에 지은 작고 소박한 경당(經堂). 경당은 그가 선종하기 전까지 은신했던 죽림굴(竹林窟)을 닮았다.

최양업 토마스 신부는 조선 최초의 신학생이자 한국천주교회의 두 번째 사제다. 교회는 순교로 신앙을 증언한 한국의 첫 사제 김대건 신부를 ‘피의 순교자’로, 당대의 유일한 한국인 사제로서 신자들을 위해 조선 팔도를 누빈 최양업 신부를 ‘땀의 순교자’라고 부른다. 그는 2016년 교황청으로부터 공식 인준을 받아 ‘가경자(可敬者)’로 선포되었다. 한국에서 순교자가 아닌, 증거자의 시복을 추진한 사례는 최양업 신부가 처음이다. 그의 탄생 200주년을 기념해 대전교구는 청양의 생가터인 새터[新垈]에 최양업 신부를 기념하는 경당을 짓기로 했다. 경당은 청양군의 관광 진흥사업으로 진행 중인 ‘다락골 관광자원 정비사업’의 핵심이 될 곳이기도 하다. 줄무덤이 있는 다락골 성지(聖地)는 한국 가톨릭 신자들에겐 성지순례의 중요한 코스로, 청양군에게는 역사적 인물의 거점으로 관광자원의 역할을 해왔다. 최양업 신부의 생가터에 짓는 경당은 그의 정신을 기억하는 일이자 지역의 거점을 제대로 정비하는 일이기도 하다.

“최양업 신부님에게 잘해드리고 싶어요.”

다락골 성지의 김영직 주임신부는 프로젝트를 의뢰하며 마음에 담은 이야기를 한다. 전국에 있는 103명 성인들의 성지는 이미 160여 곳을 넘어섰다. 이곳은 다른 성지와 어떻게 다른가. 이곳에서 그를 어떻게 기억하게 할 것인가. 그 물음에 대한 건축적 대답이 필요하다. 생가는 사라지고 터만 남아있는 땅, 그리고 큰 감나무 한 그루. 그 모습이 이곳 성지의 방향 같다. 큰 집으로 채울 것이 아니라 가능한 작은 집을 짓고, 터를 그대로 비운다. 경당은 오랫동안 이어져온 이곳의 풍광을 거스르지 않으면서 그를 기억하는 자리가 되어야 한다. 그가 걸었던 밤길의 어둠처럼 빛보다는 찬란한 어둠이 자리 잡은 곳이 더 적합하다. 그래야 경당은 가톨릭 신자뿐만 아니라 방문하는 모든 이에게 자신을 돌아보는 장소로서 역할을 하게 될 것이다.

You’re reading a preview, subscribe to read more.

More from Space

Space2 min read
The Architect's Atelier 건축가의 아틀리에
건축가에게 아틀리에는 어떤 의미일까? 프로젝트를 구상하고, 도면을 그리고, 모형을 만들고, 클라이언트와 협의하는 등 다양한 활동이 일어나는 이 장소는 단순히 일하는 공간 이상의 의미를 지닌다. 근대건축가가 활동했던 아틀리에부터 현재에 이르기까지 아틀리에는 교육과 실무의 현장이 되기도, 그 자체로 창작과 실험을 위한 장이 되기도 하며 진화해왔다. 이번 기획에서는 설계업이 이루어지는 공간이자 환경인 아틀리에에 주목한다. 특히 동시대의 해외와 국내
Space19 min read
News
김지아 기자 서울시립 미술아카이브에서 열린 <서울: 서울, 어디에나 있고 아무데도 없는 강홍구의 서울>은 오랜 시간 서울이라는 도시 공간의 변화를 탐구해온 작가 강홍구의 작업을 아카이브의 관점에서 재해석하고자 시도한다. 이번 전시에서는 2018년 그가 서울시립 미술아카이브에 기증한 불광동 작업 컬렉션 5,000여 점과 2023년 추가 기증한 은평뉴타운 작업 컬렉션 1만 5,600여 점을 토대로 단순히 작가의 개인전 형식이 아닌, ‘강홍구의 서울
Space31 min read
예술과 삶이 교차하는 자리, 리노베이션을 앞둔 미술관 The Intersection of Art and Life at an Upcoming Art Museum Renovation
우리나라 최초의 현대미술관인 국립현대미술관이 1986년 과천으로 신축 이전됐고, 그 전후로 아르코 미술관(전 미술회관, 1979), 환기미술관(1992), 부산시립미술관(1998), 아트선재센터(1998) 등이 완공되며 미술관이 양적으로 팽창하기 시작했다. 이로부터 30~40여 년이 지난 오늘날, 오래된 미술관들은 건물의 노후화로 인해 리노베이션에 직면했다. 개보수의 필요에 더해 미술관에 요구되는 역할과 공간 또한 변하고 있는 상황 속에서 오래

Related Books & Audioboo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