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pace

THE ARCHITECT'S ATELIER Project 4 + 20

책상은 하나, 방은 150개가 있는 집:

MVRDV 하우스는 로테르담의 상징적인 상업 건물인 헷 인뒤스트리헤바우의 단층 외부 창고를 개조한 건물이다. 기존 건물은 네덜란드 건축 역사에서 주요한 건축가 휴 마스칸트가 1952년 설계했다. MVRDV는 이곳에 “본래 건축가의 설계 의도대로, 건물 안에서 미래의 유연한 성장과 협업을 가능하게 하는 업무 공간”을 조성하고자 했다. MVRDV 하우스는 그 이름처럼 마치 집과 같다. 거실 역할을 하는 패밀리룸은 온 가족이 함께 앉을 수 있는 소파와 식탁 등 집에 필요한 모든 것을 갖췄다. 강연과 프리젠테이션뿐 아니라 축구 응원을 위해 모여 앉을 수 있는 계단 광장, 방문자를 환영하는 식물 샹들리에, 모든 직원이 매일 함께 둘러앉는 식탁. MVRDV에게 이러한 ‘집 같은’ 공간은 이들이 추구하는 업무 방식, 즉 협업을 강화하는 효율적 공간이다. 나아가 성 중립적인 화장실, 30m 길이의 점심 식탁, 가족사진을 거는 벽 등에는 업무 공간이 사회적 역할을 할 수 있다는 MVRDV의 믿음이 담겼다. 패밀리룸 옆으로는 프로젝트 팀을 위한 아틀리에가 넓은 공간을 차지한다. 중간 다리와 칸막이가 없는 하나의 큰 유닛으로 맞춤 제작한 책상에서 모두가 함께 일하며, 모든 지점에서 동료와 공간을 전망할 수 있다. MVRDV 하우스는 기존의 밀폐된 공간을 모두 유리 벽으로 교체했다. 낙서와 다이어그램이 가득한 유리 벽은 패밀리룸과 아틀리에 공간을 분리한다. 아틀리에의 반대편에는 서로 다른 색의 150여 개 업무 공간이 있다. 화이트보드가 있는 드로잉룸, 사적인 대화를 위한 낮은 의자가 있는 라운지, 편안한 분위기의 독서실, 탁구를 즐기거나 일상적 만남이 가능한 게임룸까지. 다양한 이용 방식을 고려한 각각의 고유한 테마와 가구로 꾸려졌다.

작품명

MVRDV 하우스

위치

네덜란드 로테르담

연면적

2,400m2

규모

지상 2층

입주연도

2016

직원 수

300

자료제공 MVRDV

사진 오시프 판 다위벤보더

materials provided by MVRDV

photographed by Ossip van Duivenbode

A House with One Desk and 150 Rooms: MVRDV

The building housing MVRDV's new offices, Het Industriegebouw, is in itself a large community of creative, technical and entrepreneurial industries. The building was originally designed by the Dutch post-war architect Hugh Maaskant in 1952, who also designed several other iconic buildings in the city. MVRDV wanted to design a ‘workspace that could allow for future, flexible growth and collaboration within the building, just as was the design intention of the original architect’. MVRDV HOUSE is like a house, as its name suggests. The large Family Room becomes the centrepiece for social interaction with the couch, dinning table and vegetation chandelier—a large tribune with a drop-down projection screen for lectures, office presentations or football; the long lunch table, at which the whole office gathers together daily. The house-like spaces boost their working methods and output as efficient spaces that enhance the collaborative ways in which they work. Furthermore, gender-neutral toilets, a wall with family pictures and a communal, 30m-long lunch table are all signs of the socially engaged nature of the company. Past this, The Atelier for the project teams takes up the main bulk of the central space. Custom-made tables were designed as one large unit with no table legs or dividers in the way to accommodate entire teams. From almost every point in the office, one can see their colleagues within the space. The previously enclosed areas were knocked open and replaced with glazed walls. They are covered in doodles and working diagrams, separating the Atelier from the Family Room. Opposite this are the bold, multi-coloured meeting rooms. Each has its own theme and specific furniture for different kinds of meeting: The Drawing Room with whiteboard magnet walls for workshops; The Lounge with low chairs for conversations in private; the brown and intimate Reading Room; and The Game Room for playing or informal meetings at the table-tennis table.

Project name

MVRDV HOUSE

Location

Rotterdam, Netherlands

Gross floor area

2,400m2

Building scope

2F

Year of occupancy

2016

Number of employees

around 300

건축가의 정체성을 재료 삼아: 네리&후 디자인 앤드 리서치 오피스

블랙박스 리덕스 No. 31은 상하이의 번화한 불교 사원 지역 한가운데에 있는 작은 공업단지 안에 위치한다. 통신 회사의 사무실 겸 기숙사로 쓰이던 4층짜리 건물을 개조했다. 이 평범한 듯 눈에 띄지 않는 옛 산업유산은 줄곧 ‘적응적 재사용(adaptive reuse)’ 프로젝트에 천착해온 네리&후 디자인 앤드 리서치 오피스(이하 네리&후)에게 또 다른 도전이자 가능성이었다. 도시에 과잉된 건축 유산을 활용해 건물의 생존이라는 의미 이상으로 재사용할 수 있을까? 역사와 유산을 말 그대로 재현하지 않고도 기릴 수 있는 방법은 무엇일까? 네리&후는 이를 ‘성찰적 노스탤지어(reflective nostalgia)’라는 개념으로 정의 내린다. 그리고 이번 아틀리에를 그러한 탐구의 완결이자 출발점으로 삼았다. 먼저 건물에 구조적 변화를 주지 않으면서도 전면이 이전과 완전히 다르게 읽히길 원했다. 기존의 반복적인 창을 유리 벽돌로 채우고 금속 프레임을 추가해 하나의 가로창으로 보이도록 하고, 건물 상부와 1층부의 색과 소재를 달리 하는 등 비율, 색, 재료 등의 변주를 이용해 외관을 재작업했다. 그리고 기존의 콘크리트 기둥과 보 구조물을 불규칙하면 불규칙한 대로, 결함이 있으면 있는 대로 유지하고 노출했다. 기둥 사이에 추가된 유리 벽과 흰색 박스 볼륨 등은 기존의 건축 요소와 나란히 존재하며 건물의 과거를 기억하게 한다. 건물은 공공에 열린 공간과 다른 오피스 두 개로 구성된다. 1층은 가구점과 갤러리가, 2층은 디자인 리퍼블릭(공동대표 린든 네리, 로잔나 후)이, 3~4층은 네리&후가 점유한다. 이전 사무실이었던 블랙박스(2009)가 그랬던 것처럼 각기 다른 사용자들이 유기적으로 연결된 공간을 같이 또 따로 이용한다. 네리&후와 디자인 리퍼블릭 그리고 선별되어 입주한 여러 디자인 스튜디오들은 ‘디자인 공동체’다. 건축과 인테리어부터 가구와 그래픽 및 사이니지 디자인에 이르기까지 모든 것이 이들 손길을 거쳐 총체적으로 디자인됐다.

작품명

블랙박스 리덕스 No. 31

위치

중국 상하이

연면적

2,400m2

규모

지상 4층

입주연도

2018. 5.

직원 수

120

자료제공 네리&후 디자인 앤드 리서치 오피스

사진 하오 첸(별도표기 외)

materials provided by Neri&Hu Design and Research Office

photographed by Hao Chen (unless otherwise indicated)

Using the Architect's Identity as Materials: Neri&Hu Design and Research Office

The Black Box Redux Number 31 is located within a small complex of ex-industrial buildings in the middle of bustling Jing'an Temple area, and the site for renovation was a four-storey nondescript office and dormitory building for a local telecoms company. The renovation strategies employed were based on the notion of ‘reflective nostalgia’, as a way of honouring history and heritage without having to recreate it literally. As a practice, Neri&Hu Design and Research Office (hereinafter Neri&Hu) has always been eager to take on ‘adaptive reuse’ projects, as this gives the opportunity to reutilise an artifact of urban excess, and to celebrate and even elevate the mundane. They embraced the potential to transform the old structure and give it a chance not only to survive, but to thrive as a new beacon for design. First, they aimed to entirely rework the building's façade without making major structural changes. The repetitive windows of the existing building were partially infilled with glass bricks and augmented with metal frames to create the illusion of horizontal ribbon windows. Different colours and materials were used on the upper and ground floors, altering the proportions and perception of the building. The second strategy was to keep all the existing concrete post and beam constructions intact, in fact to celebrate them by leaving them fully exposed, despite minor flaws and irregularities. Within and in between the existing columns, several steel and ribbed glass enclosures are added, while white box volumes house support spaces. Throughout, there is an

You’re reading a preview, subscribe to read more.

More from Space

Space8 min read
건축은 관계를 디자인하는 것 Architecture is to Design Relationship
건축을 공부하던 학창 시절 나의 소망은 남다른 생각을 하는 사람이 되는 것이었다. 성공한 건축가들은 그만의 건축관을 ‘건축 철학’이라고 말하지만 난 ‘건축 철학’이라는 단어가 좀 오그라드는 느낌이었다. 건축가들이 너무 무게 잡는 느낌이 싫었다. 그래서 학교에서 건축설계 프로젝트를 할 때 다른 친구들은 나의 ‘작품’이라고 불렀지만 나는 항상 나의 ‘숙제’라고 불렀다. 남다른 생각을 하려면 나만의 시각이 필요하다. 그래서 나는 다른 건축가들이 쓴
Space19 min read
News
김지아 기자 서울시립 미술아카이브에서 열린 <서울: 서울, 어디에나 있고 아무데도 없는 강홍구의 서울>은 오랜 시간 서울이라는 도시 공간의 변화를 탐구해온 작가 강홍구의 작업을 아카이브의 관점에서 재해석하고자 시도한다. 이번 전시에서는 2018년 그가 서울시립 미술아카이브에 기증한 불광동 작업 컬렉션 5,000여 점과 2023년 추가 기증한 은평뉴타운 작업 컬렉션 1만 5,600여 점을 토대로 단순히 작가의 개인전 형식이 아닌, ‘강홍구의 서울
Space14 min read
공간의 고유한 시간을 꺼내어 보편으로: 한 & 모나 Extracting the Unique Time of Space into Universality: Han & Mona
한 & 모나는 리서치를 통해 공간의 누적된 시간과 서사를 충분히 헤아리고 난 뒤, 물질적 요소뿐 아니라 빛과 소리, 냄새와 같은 비물질 요소들을 이용해 공간의 서사를 재설계한다. 그들의 작품 안에 들어갈 때, 작품에 대한 이성적 비평에 앞서 신체적・감정적 감각이 먼저 반응하는 이유다. 그들이 해석하는 장소와 건축은 무엇인지, 작품으로의 이행은 어떤 과정을 통해 이루어지는지 들어보았다. After achieving a more thorough u

Related Books & Audioboo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