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pace

건축은 관계를 디자인하는 것 Architecture is to Design Relationship

건축을 공부하던 학창 시절 나의 소망은 남다른 생각을 하는 사람이 되는 것이었다. 성공한 건축가들은 그만의 건축관을 ‘건축 철학’이라고 말하지만 난 ‘건축 철학’이라는 단어가 좀 오그라드는 느낌이었다. 건축가들이 너무 무게 잡는 느낌이 싫었다. 그래서 학교에서 건축설계 프로젝트를 할 때 다른 친구들은 나의 ‘작품’이라고 불렀지만 나는 항상 나의 ‘숙제’라고 불렀다. 남다른 생각을 하려면 나만의 시각이 필요하다. 그래서 나는 다른 건축가들이 쓴 책을 되도록 안 읽으려고 했다. 다른 건축가의 아류가 되고 싶지 않아서였다. 대신 그 건축가들의 생각에 영향을 주었을 좀 더 근본적인 책들을 보려 했다. 나에게 그 책들은 현대물리학, 철학, 심리학, 기독교 신학책이었다. 철학책들은 읽었지만 대부분 무슨 말인지 이해가 되지 않았고 나의 관심을 끄는 것들은 주로 현대물리학 책들이었다. 그 배경에는 프리초프 카프라의 『현대물리학과 동양사상』이라는 책의 영향이 컸다. 고등학교 시절 철학은 국민윤리 시간에, 물리학은 물상 시간에 배우는 전혀 다른 학문이었다. 그런데 카프라의 책은 철학과 과학이 같은 생각을 다르게 설명할 뿐이라는 것을 알려주었다. 그것도 시대와 장소를 뛰어넘어서 말이다. 뛰어난 인간의 생각이 다른 분야에서 다르게 표현될 뿐이라는 사실은 내게 두 가지 깨달음을 주었다. 하나는 분야를 뛰어넘어서 통섭할 수 있다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건축을 통해서도 그러한 깨달음을 표현할 수 있을 것이라는 생각이다. 덕분에 자신감을 가지고 대학교 시절 배운 여러 지식들을 건축으로 녹여 디자인을 표현해보려고 했다.

군복무를 마치고 대학원을 준비하던 1990년대 초 주간지 「타임」의 표지를 ‘사이버 공간’이 장식했다. 나는 당시 컴퓨터 모니터에 있는 텍스트뿐인 인터넷 홈페이지들을 보고 왜 ‘공간’이라 부르는지 의문이 들었다. 당시 인터넷은 너무 느려서 학자들의

You’re reading a preview, subscribe to read more.

More from Space

Space3 min read
웜 앤 쿨 Warm and Cool
우리는 이 건물을 두 가지 방식으로 설명하곤 한다. 첫 번째 설명은 다음과 같다. 이 건물은 층별로 원룸이 3세대씩 들어가야 하는 빡빡한 평면으로 이루어진 저층부와 의뢰인 가족이 살고 있는 4, 5층의 고층부로 이루어져 있다. 대지가 작아 모든 공간이 여유가 없었고 우리는 구조적 지식을 활용하여 조금이라도 편한 건물을 만들고자 했다. 2, 3층 입면을 비렌딜 트러스로 구성하여 1층 외부 진출입부에 기둥이 없는 편리한 주차장을 만들었다. 화재 위
Space3 min read
호숫가의 집 A House by a Lake
은퇴와 함께 시골로 이사 가는 부부를 위한 집이다. 우리는 이 집이 새로운 삶으로의 정착을 도와주는 길잡이, 같이 지내면 기분 좋은 친구 같은 집이었으면 좋겠다고 생각했다. 비교적 큰 땅을 사게 되었으나, 부부는 힘닿는 데까지만 밭을 가꿀 것이라고 했다. 두 분이 이 삶을 온전히 누리기 위해서는 통제된 실내 공간과 그렇지 않은 자연 사이에 마음 편히 쓸 수 있는 중간적인 공간이 있어야 할 것 같았다. 흙 묻은 신발을 벗어두거나, 햇볕에 무언가
Space19 min read
News
김지아 기자 서울시립 미술아카이브에서 열린 <서울: 서울, 어디에나 있고 아무데도 없는 강홍구의 서울>은 오랜 시간 서울이라는 도시 공간의 변화를 탐구해온 작가 강홍구의 작업을 아카이브의 관점에서 재해석하고자 시도한다. 이번 전시에서는 2018년 그가 서울시립 미술아카이브에 기증한 불광동 작업 컬렉션 5,000여 점과 2023년 추가 기증한 은평뉴타운 작업 컬렉션 1만 5,600여 점을 토대로 단순히 작가의 개인전 형식이 아닌, ‘강홍구의 서울

Related Books & Audiobooks